사회 집단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사회 집단은 개인의 정서적 만족, 문제 해결, 가치 판단 기준을 제공하며, 사회적 응집력, 상호작용, 공동 목표 추구, 구조 형성, 통합성을 특징으로 한다. 사회 집단은 1차 집단, 2차 집단, 집합체, 범주 등 다양한 유형으로 분류되며, 반사회 집단과 같은 부정적인 형태도 존재한다. 집단 형성은 근접성, 유사성, 상호성 등의 원리에 의해 영향을 받으며, 집단의 발전 단계는 상호작용, 목표, 상호 의존성, 구조, 통합성을 통해 이루어진다. 건강한 집단은 구성원의 건강과 생산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사회적 관계는 심혈관 질환, 우울증 등 다양한 건강 문제와 관련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사회 집단 - 인민
인민은 중국에서 유래하여 시대와 지역에 따라 의미가 변화해 온 용어로, 피지배민을 의미하는 경우가 많았으나, 공산주의 운동에서는 특정 계급을 지칭하는 좁은 의미로 사용되기도 했으며, 현대에는 사용 맥락에 따라 다르게 해석될 수 있다. - 사회 집단 - 민중
민중은 원래 '많은 사람들'을 뜻하는 한자어였으나, 좌파 이념에서는 소외된 계층을 지칭하는 용어로, 민주화 운동 세력에게는 사회 구성원 전체를 포괄하는 의미로 사용되었으며, 한국 사회 민주화 운동의 중요한 사례들이 존재하고 민중신학과 해방신학은 민중을 역사 변혁의 주체로 해석하는 이념적 기반을 제공했지만, 민중을 열등하게 보는 시각도 존재한다. - 사회학 용어 - 근대화
근대화는 18세기 후반 영국의 산업혁명을 기점으로 시작되어, 과학기술 발전에 기반한 생산력 향상과 환경 통제 능력 증대를 특징으로 하며, 네덜란드의 독립과 번영, 영국 의회 정치와 산업혁명, 미국 독립 혁명과 프랑스 혁명 등 다양한 사건들을 통해 나타났다. - 사회학 용어 - 책임
책임은 법률 위반 행위에 대한 법적 제재를 포괄하며, 고의, 과실 등을 고려하여 형사 책임, 민사 책임, 행정 책임 등 다양한 형태로 나타나며, 자기 책임론은 사회적 약자에게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사회 집단 | |
---|---|
지도 정보 | |
사회 집단 개요 | |
정의 | 둘 이상의 사람들이 상호 작용하는 집합체 |
특징 | 공통의 목표나 관심사를 가짐 상호 작용 및 의사소통 집단 구성원 간의 관계 형성 집단 정체성 형성 |
분류 | 일차 집단 (가족, 친구) 이차 집단 (학교, 회사) 내집단과 외집단 공식 집단과 비공식 집단 자발적 집단과 강제적 집단 |
사회 집단의 형성과 발전 | |
형성 요인 | 근접성 유사성 상호 작용 공통의 목표 |
발전 단계 | 형성 단계 혼란 단계 규범화 단계 수행 단계 해산 단계 |
유지 요인 | 응집력 의사소통 집단 규범 리더십 |
사회 집단의 기능 | |
개인적 기능 | 사회적 지지 제공 소속감과 정체성 형성 학습과 성장 기회 제공 정서적 안정감 제공 |
사회적 기능 | 사회화 사회 통제 사회 변화 목표 달성 |
사회 집단 연구 분야 | |
주요 분야 | 사회심리학 사회학 조직 행동 커뮤니케이션 연구 |
추가 정보 | |
관련 개념 | 사회 관계 사회 네트워크 집단 역학 소집단 대집단 군중 공동체 |
관련 링크 | Creation, evolution, and dissolution of social groups |
2. 집단의 정의 및 특징
인간은 사회적 동물이기 때문에, 집단에 속하는 것은 생존과 발전에 필수적이다. 독일 사회학자 짐멜(G. Simmel)은 고립조차도 사회와의 간접적인 관계라고 지적하며, 인간은 집단 생활에서 완전히 벗어날 수 없다고 보았다.
개인이 집단에 참여하는 동기는 크게 두 가지로 나눌 수 있다.
- 정서적 만족: 인간관계를 통해 친밀감, 소속감 등 정서적 욕구를 충족한다.
- 과제 해결 및 가치 판단 기준 제공: 생활 속 문제 해결에 대한 도움을 받고, 가치 판단의 기준을 얻는다.
집단은 이러한 개인의 동기를 활용하여, 구성원들을 특정한 구조에 통합시키고 집단 활동의 에너지로 전환한다. 집단은 구성, 규모, 목적에 따라 다양한 유형으로 나타나며, 단순한 개인의 집합이 아닌 고유한 특성을 지닌다.
포스사이스(Forsyth)는 그의 저서 『집단 역동』(Group Dynamics)에서 집단을 정의하는 데 도움이 되는 몇 가지 공통적인 특징들을 다음과 같이 제시하였다.[14]
집단 형태 | 설명 |
---|---|
또래 집단 | 연령, 사회적 지위, 관심사가 거의 유사한 모임. 일반적으로 토론 시 구성원의 발언권은 동등하다. |
클리크 | 고등학교나 대학교에서 형성되는 비공식적이고 밀접한 관계의 집단. 공통의 이해관계를 공유한다. 대부분의 모임에서는 권력 구조의 변화가 형성된다. |
클럽 | 일반적으로 회원제 집단. 많은 클럽은 스포츠와 같은 특정 활동을 위해 만들어진다. |
가구 | 같은 집에서 함께 살고 있는 사람들의 모임. 가족 |
공동체 | 공통점을 가진 사람들. 때로는 여러 가지 공통점을 가질 수도 있다. |
프랜차이즈 | 대부분 여러 장소에서 사업을 운영하는 조직. |
갱 | 갱은 일반적으로 특정 지역에서 형성되는 도시 집단이다. 많은 경우 서로 어울려 지낸다. 클럽과 비슷하게 행동하지만 클럽만큼 공식적인 것은 아니다. |
군중 | 일반적으로 법률에 자신의 의견을 반영하려는 사람들의 모임. 보통 일시적으로 특별한 이유로 모인다. |
반 | 일반적으로 3~8명으로 구성되는, 반으로서의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작은 작업 집단. |
팀 | 반과 유사하지만 더 많은 구성원을 포함할 수 있다. |
기초 집단은 가족과 같이 친밀한 혈연을 기반으로 하는 작은 집단이며, 오랜 관계를 맺고 가깝게 지내는 특징을 보인다. 반면, 두 번째 집단은 기초 집단보다 규모가 크고, 구성원 간의 관계가 공식적이며, 짧은 기간 안에 해산될 수 있다. 기초 집단은 두 번째 집단 내에서 형성되기도 한다.
사람들은 자신이 속한 집단으로부터 어떻게 평가받는지에 대한 유대감을 가지며, 집단의 목표와 가치관을 자신의 정체성의 일부로 내면화한다.
2. 1. 사회적 응집력 관점
사회 집단은 어느 정도의 사회적 응집력을 보이며, 버스 정류장에서 기다리는 사람들 또는 줄을 서서 기다리는 사람들과 같이 단순한 개인들의 집합이나 집단 이상의 것을 의미한다. 집단 구성원들이 공유하는 특징에는 관심사, 가치관, 사회적 표상, 민족적 또는 사회적 배경, 그리고 혈연 관계가 포함될 수 있다. 혈연 관계는 공통 조상, 결혼 또는 입양을 기반으로 하는 사회적 유대감이다.[3] 비슷한 맥락에서 일부 연구자들은 집단의 결정적 특징을 사회적 상호작용으로 간주한다.[4] 던바의 수에 따르면, 사람들은 평균적으로 150명 이상의 개인과 안정적인 사회적 관계를 유지할 수 없다.2. 2. 사회적 정체성 관점
사회적 정체성 관점은 사회 집단을 개인 간의 응집력 있는 사회적 관계로 정의하는 대신, "심리적 집단 구성원 자격이 주로 지각적 또는 인지적 기반을 갖는다"고 가정한다.[9] 즉, 개인이 자신을 특정 집단의 구성원으로 인식하고, 그 집단의 정체성을 자기 개념의 구성 요소로 내면화하는 것을 중요하게 여긴다.[9]사회적 정체성 관점에서, 개인은 집단 행동을 할 때 "나는 누구에게 끌리는가?" 대신 "나는 누구인가?"라는 질문을 던진다.
최소 집단 패러다임 연구는 사회적 정체성 관점을 경험적으로 뒷받침한다. 이 연구에 따르면, 개인을 무작위로 범주에 할당하는 것만으로도 내집단 우호적으로 행동하게 만들기에 충분하다.[10] 심지어 개인적 이익이 없는 경우에도 이러한 현상이 나타난다.[10] 최근 연구는 의미 없는 범주화가 동료 범주 구성원과의 상호 의존성에 대한 인식의 선행 요인이 될 수 있음을 보여주는데, 이는 사회적 응집력 설명으로는 설명하기 어려운 부분이다.[11]
사회 집단에 대한 이러한 접근 방식은 사회 정체성 이론에 뿌리를 두고 있으며, 자기 범주화 이론을 통해 더 깊이 탐구되었다.[12] 자기 범주화 이론은 개인이 어떻게 스스로를 집단 구성원으로 인식하게 되는지, 그리고 이러한 자기 집단화 과정이 집단 행동의 기반이 되는지를 설명한다.[13]
2. 3. 집단의 특징적 요소
집단 구성 요소는 구두 또는 비구두 의사소통, 사회적 태만, 네트워킹, 유대감 형성 등을 포함하여 매우 다양하다. Bales(1950, 1999)의 연구에 따르면 상호작용에는 두 가지 주요 유형이 있다. 관계적 상호작용과 과업적 상호작용이다.[14]- 관계적 상호작용: "긍정적 행동(사회적 지원, 배려)과 부정적 행동(비판, 갈등)을 모두 포함하여 집단 내 정서적 및 대인 관계적 유대감과 관련되거나 영향을 미치는 집단 구성원이 수행하는 행동."[14]
- 과업적 상호작용: "집단의 프로젝트, 과업 및 목표와 관련된 집단 구성원이 수행하는 행동."[14] 여기에는 구성원들이 스스로 조직하고 기술과 자원을 활용하여 무언가를 달성하는 것이 포함된다.
대부분의 집단은 교육과 지식 향상, 정서적 지원, 영적 또는 종교적 경험 등과 같은 존재 이유를 가지고 있으며, 집단은 이러한 목표 달성을 촉진할 수 있다.[14] 조셉 맥그래스의 집단 과제의 순환 모델[15]은 집단 관련 과제와 목표를 체계화한다. 집단은 이러한 목표 중 여러 가지 또는 한 번에 한 영역에 집중할 수 있다. 이 모델은 집단 목표를 다음과 같은 네 가지 주요 유형으로 나누고, 각 유형은 세부적으로 분류된다.
# 생성: 목표 달성을 위한 아이디어와 계획을 세우는 것
#* 계획 과제
#* 창의성 과제
# 선택: 해결책을 선택하는 것
#* 지능적 과제
#* 의사결정 과제
# 협상: 문제에 대한 해결책을 마련하는 것
#* 인지적 갈등 과제
#* 혼합 동기 과제
# 실행: 과제를 수행하는 행위
#* 경쟁/전투/경쟁 과제
#* 수행/심동작 과제
상호의존성은 다른 사람들에게 어느 정도 의존하는 상태를 말하며, 자신의 결과, 행동, 생각, 감정, 경험이 전적으로 또는 부분적으로 다른 사람들에 의해 결정될 때를 의미한다.[14] 어떤 집단은 다른 집단보다 상호의존성이 더 높다. 예를 들어, 스포츠 팀은 영화관에서 영화를 보는 사람들의 집단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은 수준의 상호의존성을 가진다. 또한, 상호의존성은 상호적인 것(구성원들 사이를 오가는)일 수도 있고, 더 선형적/일방적인 것일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어떤 구성원들은 상사에게 각 개인이 상사에게 의존하는 것보다 더 의존할 수 있다.
집단 구조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집단 내에서 나타나는 규칙성, 규범, 역할 및 관계를 포함한다. 역할은 집단 내에서 개인의 지위나 위치에 따라 기대되는 행동과 수행을 의미한다. 규범은 집단 구성원의 허용 가능하고 허용할 수 없는 행동에 관한 집단이 채택한 관념이다. 집단 구조는 집단의 매우 중요한 부분이다. 집단 내에서 구성원들이 기대에 부응하지 못하고 역할을 수행하지 못하면, 그 집단을 받아들이지 않거나 다른 구성원들에게 받아들여지지 않을 수 있다.
전체적으로 보면, 집단은 개별 구성원의 합보다 더 크다. 사람들이 집단에 대해 이야기할 때, 그들은 개인의 관점이 아닌 전체 또는 하나의 실체로서 집단을 이야기한다. 예를 들어, "그 밴드가 아름답게 연주했다"라고 말할 것이다. 이러한 통합의 이미지에는 집단 응집력과 실체성(외부인에 의한 응집력의 외관)을 포함한 여러 요인이 작용한다.[14]
3. 집단의 유형
인간은 사회적 동물로서 집단을 이루고 생활하며, 집단은 개인에게 정서적 만족과 생활 과제 해결, 가치 판단 기준을 제공하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 독일의 사회학자 게오르크 지멜은 인간의 고립조차도 사회와의 간접적인 관계를 나타내는 것이라고 지적하며, 인간이 집단 생활에서 완전히 고립되는 것은 불가능하다고 보았다.
집단은 개인의 동기를 바탕으로 구성되며, 일정한 구조와 기능을 통해 다양한 유형으로 나타난다. 도넬슨 R. 포시스는 주요 사회 집단의 유형을 1차 집단, 2차 집단(사회 집단), 집합체, 범주의 네 가지로 구분하였다.[16]
집단은 구성원 간의 관계, 지속 기간, 형성 목적 등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나타난다. 또래 집단, 클리크, 클럽, 가구, 공동체, 프랜차이즈, 갱 등이 그 예시이다. 사람들은 자신이 속한 집단으로부터 평가받는 것에 대한 유대감을 가지며, 집단의 개념을 자신과 연결함으로써 정체성의 일부로서 목표와 가치관을 형성하고 내면화한다.
3. 1. 1차 집단
1차 집단[16]은 소규모의 장기적인 집단으로, 높은 응집력, 구성원의 동일시, 대면 상호작용, 연대감이 특징이다. 1차 집단은 개인의 태도, 가치관, 사회적 방향성을 형성하여 개인의 사회화에 주된 역할을 한다.1차 집단의 세 가지 하위 집단은 다음과 같다.[17]
- 친족(친척)
- 절친
- 이웃
기초 집단은 가족과 같이 친밀한 혈연을 기반으로 하는 작은 집단이다. 기초 집단은 일반적으로 오랜 관계를 맺고 있으며, 자주 가까이서 얼굴을 맞대고 있다.
3. 2. 2차 집단
2차 집단은 직장 동료, 스터디 그룹 등과 같이 공통 목표 때문에 형성되는 중간 정도의 지속 기간을 갖는 집단이다. 이러한 유형의 집단에서는 외부집단 구성원[18]이 내부집단 구성원[18]이 되는 것이 비교적 쉽다. 2차 집단은 1차 집단과는 대조적으로 규모가 크고, 구성원 간의 관계는 공적으로 제도화되어 있다. 이 집단은 짧은 기간 안에 해산될 수도 있으며, 1차 집단의 형성은 많은 경우 2차 집단 내에서 일어난다.3. 3. 집합체
구경꾼이나 크고 작은 관중들과 같은 자발적 집단[16]은 매우 짧은 시간 동안만 존재하며, 집단 내 구성원에서 집단 외 구성원으로, 또는 그 반대로 되는 것이 매우 쉽다. 이들은 유사한 행동과 견해를 보일 수 있다.집단 형태의 예시는 다음과 같다.
집단 형태 | 설명 |
---|---|
군중 | 일반적으로 법률에 자신의 의견을 반영하려는 사람들의 모임으로, 보통 일시적으로 특별한 이유로 모인다. |
반 | 일반적으로 3~8명으로 구성되는, 반으로서의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작은 작업 집단. |
팀 | 반과 유사하지만 더 많은 구성원을 포함할 수 있다. |
3. 4. 범주
범주는 특정한 방식으로 서로 유사한 개인들로 구성된다. 이러한 집단의 구성원은 영구적인 내집단 구성원이거나 일시적인 내집단 구성원일 수 있다. 범주의 예로는 같은 민족, 성별, 종교 또는 국적을 가진 집단이 있다. 이러한 집단은 일반적으로 가장 큰 유형의 집단이다.[16]3. 5. 기타 집단 유형
- 또래 집단: 연령, 사회적 지위, 관심사가 거의 유사한 모임이다. 일반적으로 토론 시 구성원의 발언권은 동등하다.
- 클리크: 고등학교나 대학교에서 형성되는 비공식적이고 밀접한 관계의 집단이다. 공통의 이해관계를 공유한다. 대부분의 모임에서는 권력 구조의 변화가 형성된다.
- 클럽: 일반적으로 회원제 집단이다. 많은 클럽은 스포츠와 같은 특정 활동을 위해 만들어진다.
- 가구: 같은 집에서 함께 살고 있는 사람들의 모임이다. 가족
- 공동체: 공통점을 가진 사람들이다. 때로는 여러 가지 공통점을 가질 수도 있다.
- 프랜차이즈: 대부분 여러 장소에서 사업을 운영하는 조직이다.
- 갱: 갱은 일반적으로 특정 지역에서 형성되는 도시 집단이다. 많은 경우 서로 어울려 지낸다. 클럽과 비슷하게 행동하지만 클럽만큼 공식적인 것은 아니다.
- 군중: 일반적으로 법률에 자신의 의견을 반영하려는 사람들의 모임이다. 보통 일시적으로 특별한 이유로 모인다.
- 반: 일반적으로 3~8명으로 구성되는, 반으로서의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작은 작업 집단이다.
- 팀: 반과 유사하지만 더 많은 구성원을 포함할 수 있다.
4. 반사회 집단
반사회 집단은 정상적인 사회 질서에서 벗어나 사회의 안전과 시민 생활을 위협하는 행동 양식을 가진 집단이다. 조직은 비밀스럽고, 결합은 비이성적이지만 일반 사회 집단보다 강하며, 폭력적인 행동을 하는 경향이 있다. 편협한 애국 단체나 폭력단 등이 이에 해당한다. 반사회 집단의 존재는 사회의 병적인 현상이며, 혼란이나 궁핍한 시기에 많이 나타난다. 권력에 기생하는 성격을 가지며, 경찰의 수사나 파업 분쇄 등에 이용되는 경우가 있다.[38]
5. 집단의 형성과 발전
인간은 사회적 동물로서, 집단 생활을 통해서만 인간다운 삶을 영위할 수 있다. 독일의 사회학자 게오르크 지멜은 인간의 고립조차도 사회와의 간접적인 관계를 나타내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즉, 고립이라는 상태는 사회생활에서 경험하는 다양한 영향에 대한 반응일 뿐이라는 것이다. 인간은 집단을 통해 정서적 만족과 생활 과제 해결, 가치 판단 기준을 얻으며, 이는 집단이 개인에게 갖는 중요한 의미이다.[3]
집단은 개인의 욕구를 충족시켜주는 수단이며, 동시에 개인들을 결속시켜 집단 활동의 에너지로 활용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다양한 유형의 집단이 형성되며, 각 집단은 고유한 구조와 기능을 가진다. 사회 집단은 사회적 응집력을 가지며, 단순한 개인들의 집합 그 이상이다. 집단 구성원들은 관심사, 가치관, 사회적 표상, 민족적 또는 사회적 배경, 혈연 관계와 같은 특징들을 공유한다.
사회심리학자 무자퍼 셰리프는 사회 집단을 다음과 같이 정의했다.[5]
정의 |
---|
이러한 정의는 집단 형성과 기능, 그리고 사회적 상호 작용을 이해하는 데 도움을 준다.
집단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발전하며, 낯선 사람들이 모여 상호작용을 시작하면서 소규모 집단을 형성하고, 이들이 통합되어 더 큰 집단을 이루는 과정을 거친다. 이 과정에서 갈등이 발생하기도 하지만, 공통 목표와 개인의 기술에 따라 리더십, 역할, 규범 등이 확립되면서 생산적인 집단으로 발전한다.[34][35][36]
하지만 안정적인 집단도 기능 장애를 겪거나 해체될 수 있다. 새로운 구성원 추가, 지도자의 리더십 약화, 지위나 규범의 혼란 등은 기능 장애의 원인이 된다. 집단의 규모가 커지면서 하위 집단이 형성되고 역할과 규칙에 혼란이 발생하기도 한다.
집단이 잘 유지되기 위해서는 공동 목표가 명확해야 하며, 지도자는 구성원들의 헌신을 이끌어내고 역할을 유지해야 한다. 지도자의 상실은 집단에 치명적일 수 있지만, 강력한 공동 목표가 남아있다면 재조직을 통해 집단을 재건할 수 있다.
5. 1. 집단 형성 요인
사회 집단은 개인을 서로 연결하여 결국 집단을 형성하는 특정한 매력의 원리에 따라 형성되는 경향이 있다.- 근접성 원리: 개인이 (종종 물리적으로) 가까이 있는 사람들과 관계를 발전시키고 집단을 형성하는 경향을 말한다. 이는 종종 ‘익숙함이 호감을 낳는다’ 또는 우리가 익숙한 것/사람들을 선호한다는 것으로 언급된다.[24]
- 유사성 원리: 개인이 자신의 태도, 가치관, 인구통계적 특성 등을 공유하는 개인과 교류하거나 선호하는 경향을 말한다.
- 상보성 원리: 개인이 자신과 다르지만 상보적인 방식으로 다른 개인을 좋아하는 경향을 말한다. 예를 들어, 지도자는 이끌리는 것을 좋아하는 사람들을 끌어들이고, 이끌리는 것을 좋아하는 사람들은 지도자를 끌어들인다.[25]
- 상호성 원리: 호감이 상호적인 경향을 말한다. 예를 들어, A가 B를 좋아하면 B는 A를 좋아하는 경향이 있다. 반대로 A가 B를 싫어하면 B는 아마 A를 좋아하지 않을 것이다(부정적 상호성).
- 정교화 원리: 기존 집단 구성원과의 관계를 통해 새로운 구성원을 추가함으로써 시간이 지남에 따라 집단이 복잡해지는 경향을 말한다. 보다 공식적이거나 구조화된 집단에서는 잠재적 구성원이 가입하기 전에 현재 집단 구성원의 추천이 필요할 수 있다.
다른 요인들도 집단 형성에 영향을 미친다. 외향적인 사람은 더 크고 빈번한 대인 상호 작용을 자극적이고 즐겁게 여기기 때문에 (내향적인 사람보다 더) 집단을 더 많이 찾을 수 있다. 마찬가지로, 집단은 내향적인 사람보다 외향적인 사람을 더 많이 찾을 수 있는데, 아마도 그들이 외향적인 사람과 더 쉽게 소통한다고 생각하기 때문일 것이다.[26] 다른 사람과의 관계에 주의를 기울이는 관계성이 높은 사람들도 집단 구성원이 되는 것을 더 원하고 소중히 여길 가능성이 높다. 관계성은 외향성과 친화성과도 관련이 있다.[27] 마찬가지로, 소속에 대한 욕구가 높은 사람들은 집단에 가입하고, 집단과 더 많은 시간을 보내고, 다른 집단 구성원을 더 쉽게 받아들인다.[28]
이전의 집단 경험(좋은 경험과 나쁜 경험)은 사람들이 잠재적 집단에 가입할지 여부에 대한 결정에 영향을 준다. 개인은 집단의 보상(예: 소속감,[29] 정서적 지원,[30] 정보적 지원, 도구적 지원, 영적 지원)과 잠재적 비용(예: 시간, 정서적 에너지)을 비교할 것이다. 이전 집단과의 부정적인 또는 '혼합된' 경험을 가진 사람들은 가입할 잠재적 집단과 가입할 집단을 평가하는 데 더 신중할 가능성이 높다.
5. 2. 집단의 발전 단계
낯선 사람들이 모여 상호작용을 시작하면서, 공통점을 가진 사람들끼리 소규모 집단을 형성한다. 이러한 소규모 집단 내의 관계는 안정성을 가지며, 개인들은 특정 짝이나 삼인조로 돌아가고 변화에 저항한다.[34][35][36]소규모 집단들은 점차 통합되어 더 큰 집단을 형성하고, 영역, 지배 순위, 역할 분담 등이 이루어진다. 이 과정에서 자원 분배, 수단 선택, 규범, 보상 및 처벌 등에 대한 갈등이 발생하며, 이는 영토적 성격이나 지위를 위한 투쟁과 관련된다. 동물행동학에서는 이러한 행동을 "영토 행동"과 "지배 행동"이라고 부른다.[34][35][36]
공통 목표와 개인의 기술에 따라 리더십, 지배력, 권위가 분화되고, 역할, 규범, 제재가 확립되면 생산적인 집단이 형성된다. 공격성은 불안정한 지배 질서의 징후이며, 생산적인 집단 협력을 위해서는 공통 목표, 지배 질서, 영토적 배치가 확립되어야 한다.[34][35][36]
하지만 안정적인 집단도 기능 장애를 겪거나 분산될 수 있다. 기능 장애의 일반적인 원인은 새로운 구성원의 추가, 지도자의 공동 목표 강화 실패, 지위 또는 규범의 혼란 등이다.
집단이 수용 가능한 인원수를 초과하면, 하위 집단이 형성되고 역할과 규칙의 혼란이 발생한다. 집단의 가치와 성공은 각 구성원이 독특하고 기능하는 정체성을 유지함으로써 얻어지는데, 개인의 주의 범위는 제한적이기 때문이다.
집단이 잘 확립된 후 공동 목표가 약화되는 것은 새로운 구성원 추가, 정체성의 불안정한 갈등, 안정된 지배 질서의 약화, 지도자의 리더십 약화 등으로 설명할 수 있다. 지도자의 상실은 집단에 치명적일 수 있으며, 지배 관계 해소, 공동 목적에 대한 헌신 약화, 역할 및 규범 유지 약화를 초래한다. 강력한 공동 목표가 여전히 존재하는 경우, 새로운 지도자와 구성원을 포함한 재조직을 통해 집단을 재건할 수 있다.
6. 건강한 집단과 사회
직장 내에서 사람들이 참여하는 사회 집단은 건강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다. 동료 집단에 대한 소속감은 전반적인 성공의 중요한 요소이다.[19] 리더가 모든 구성원이 그룹 내에서 소속감을 느낄 수 있도록 돕는다면 사기와 생산성 향상에 도움이 될 수 있다. 사회적 정체성은 심리적 및 생리적 건강 모두에 기여하지만, 건강상의 이점은 심리적 건강에 더 강하게 나타난다.[20]
사회적 관계의 양이나 질이 낮은 것은 심혈관 질환, 반복적인 심근경색, 동맥경화증, 자율 신경계 기능 이상, 고혈압, 암 및 암 회복 지연, 상처 치유 속도 저하, 염증 바이오마커 및 면역 기능 저하와 같은 부정적인 건강 결과 및 사망률과 관련이 있다. 결혼이라는 사회적 관계는 가장 많이 연구되었으며, 일생 동안의 결혼 생활은 심혈관 질환, 만성 질환, 이동성 제한, 자가 건강 평가 및 우울증 증상과 같은 서로 다른 건강 결과를 형성할 수 있다. 사회적 유대감은 약물, 알코올 또는 약물 남용과 같은 특정 질환을 극복하는 데 큰 역할을 한다. 사람들이 사회적으로 더 많이 연결될 때 더 많은 지원을 받을 수 있다.[21]
매카서 재단의 10년 연구에 따르면, 사회적으로 잘 연결되어 있는 것이 사람이 나이가 들면서 상당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22] 사회 활동이 더 활발한 노인들은 건강 상태가 더 나은 경향이 있었다.[23]
참조
[1]
서적
The determination of collective behaviour
Cambridge University Press
[2]
논문
Creation, evolution, and dissolution of social groups
2021
[3]
서적
Sociology
Pearson Canada Inc.
[4]
서적
Handbook of small group research
Macmillan Publishers
[5]
서적
An Outline of Social Psychology
Harper & Brothers
[6]
서적
Administrative Behavior
Free Press
[7]
서적
op. cit.
[8]
서적
An integrative theory of intergroup conflict
Brooks/Cole
[9]
논문
Towards a cognitive redefinition of the social group
Cambridge University Press
[10]
논문
Social categorization and intergroup behaviour
[11]
논문
Examining the Preconditions for Psychological Group Membership: Perceived Social Interdependence as the Outcome of Self-Categorization
[12]
논문
The Social Identity Perspective in Intergroup Relations: Theories, Themes, and Controversies
[13]
서적
Rediscovering the Social Group: A Self-Categorization Theory
Blackwell
[14]
서적
Group Dynamics
Wadsworth, Cengage Learning
[15]
서적
Groups: Interaction and Performance
Prentice-Hall
[16]
서적
Group Dynamics
Wadsworth
[17]
논문
Primary Group Structures and Their Functions: Kin, Neighbors, and Friends
[18]
논문
The perception of variability within in-groups and out-groups: Implications for the law of small numbers
[19]
웹사이트
Health determined by social relationships at work
http://phys.org/news[...]
Society for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20]
웹사이트
Workplace leaders improve employee wellbeing
http://phys.org/news[...]
University of Queensland
[21]
논문
Social Relationships and Health: A Flashpoint for Health Policy
[22]
논문
Successful Aging
[23]
웹사이트
Social Connections are a Key to Aging Well
http://www.chicagotr[...]
The Evanston Review
[24]
논문
Exposure and affect: Overview and meta-analysis of research, 1968, 1987
[25]
논문
Complementarity of interpersonal circumplex traits
[26]
논문
Matching personality and organizational culture effects of recruitment strategy and the five-factor model on subjective person-organization fit
[27]
논문
The relational-interdependent self-construal and relationships
[28]
논문
Intimacy and affiliation motives in daily living: An experience in sampling analysis
[29]
논문
Church-based social ties, a sense of belonging in a congregation, and physical health status
[30]
논문
Intimate work: A typology of the social support that workers provide to their network members
[31]
논문
Toward a theory of open and closed groups
[32]
논문
The effect of severity of initiation on liking for a group
[33]
논문
Compliance, identification, and internalization: Three processes of attitude change
[34]
서적
op. cit.
[35]
서적
Animal Behavior
University of Chicago Press
[36]
서적
Primate Aggression, Territoriality, and Xenophobia
Academic Press
1974
[37]
웹사이트
사회집단
https://terms.naver.[...]
[38]
글로벌2
반사회집단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